이달균의 평론 65

사물의 향한 시인의 시선과 상상력―이달균의 「장미」와 「복분자」를 논거(論據)로 삼아

사물의 향한 시인의 시선과 상상력 ―이달균의 「장미」와 「복분자」를 논거(論據)로 삼아 장경렬 (서울대 영문과 교수) 1. 무엇을 문제 삼을 것인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은 ‘이데아(Idea)’라는 개념과 함께 ‘판타지아(phantasia)’라는 개념을 제시한 바 있는데, ..

이달균의 평론 2018.02.23

시와 표현(2017. 8) 이송희<경계와 소통하고 경계를 넘는 삶에 대한 통찰-이달균>

경계와 소통하고 경계를 넘는 삶에 대한 통찰 이송희(시조시인. 전남대 국문과 외래교수) 칠흑의 밤을 밝히는 이들에게 들려주리 촛불에게 약속에게, 부딪는 부싯돌에게 내 미처 이름 짓지 못한 한 순간의 섬광에게 눈물에 닿기 전에, 선잠이 깨기 전에 뿌리마저 태우고 쓰러지는 나목처..

이달균의 평론 2017.09.05

문학사상 (2017. 6) 유성호 <시의 위엄과 아름다움에 대한 노래 -이달균>

시의 위엄과 아름다움에 대한 노래 - 이달균 그동안 이달균은 시조문학의 본령인 정형의 형식을 충실하게 유지, 확산시키면서 우리의 생의 본질적 형식을 응시하고 그 안에서 삶의 종요로운 비의(秘義)를 발견하는 눈을 보여온 시인이다. 다시 말하면 그가 바라보는 세계는, 객관적 풍경..

이달균의 평론 2017.06.27

2017 열린시학회 장순하 시인론-치열한 실험과 휘몰이調로 풀어낸 가락의 시인

치열한 실험과 휘몰이調로 풀어낸 가락의 시인 -제1시조집 『백색부白色賦』와 제2시조집 『묵계&#40665;契』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사봉 장순하 선생은 이미 한국문학사에 오롯한 한 자리를 차지한 역사 인물인 동시에 시조단의 사표이며 현역시인이다. 시조뿐 아니라 평론, 수필, ..

이달균의 평론 2017.06.05